공채 문화가 한국만큼 발달한 나라도 없음대학 시험도 그나마 제일 객관적으로 선발하는 편이고서구권은 기부입학도 많고 주관적인 잣대로 등락이 갈리는 편이라 사실 부정이 더 심하다고 봐야지
2022.05.14 00:31
ㅇㅇ
근데 인맥의 의미가 완전 다른게 우리나라는 스스로 들어올 능력안되는 놈 꽂아주는거라면미국은 얘는 내가 보증한다는 의미로 추천의 케이스가 더 많지
2022.05.14 01:31
난독 인증
난독 인증
2022.05.14 01:31
버지니아
난독이 아니라 진짜그런데??그런 문화를 흐리는게 아시아인들이지. 그냥 온정주의로 좋은말만해서 추천해줌. 애내들한테는 pros and cons가 없음.
2022.05.14 01:31
.
내가 미국에서 리퍼럴 없이 레쥬메 직접 내고 IT기업에 들어갔다. 네트워킹 중요한건 사실인데 그것도 비슷한 실력일때 얘기고 아무것도 없는데 지인이라고 뽑진않음. 결국 실력있으면 리퍼럴 없어도 잘만 취업함
2022.05.14 03:31
Magneto
직종마다 조금 다름.
2022.05.14 03:31
ㅂㅈㄷㄱ
IT는 솔직히 실력만 있으면 됨. 포트폴리오 좋거나 커리어 좋으면 우리 회사 오라고 링크드인으로 먼저 연락 올 정도 그래서 컴싸가 좋음근데 컴싸라도 실력도 좋은면서서 네트워킹 잘해 놓으면 한 단계 더 좋은 데로 감 ㄹㅇ비즈니스나 파이낸스 등등 다른 전공은 인맥 만들려면 똥꼬 헐도록 빨아야 됨월가 같은데는 인맥 없으면 들어가지도 못 함 괜히 명문대 애들이 fraternity sorority 이런 데 들어갈려고 애쓰는 게 아님 미국이 신용사회라 그럼
2022.05.14 04:31
ㅂㅂ
한국 it도 슬슬 바뀌는중인사자체가 프로그래밍도 모르는 애들이 쉽게 생각해서 공채로 막 뽑았다가 결국 경력 1명 제대로 뽑는게 신입 5명뽑는것보다 낫네하며 리퍼럴 경력으로 마니 돌리는 중
2022.05.14 04:31
ㄱㄱㅁ
취업에 있어서 대체로 남자가 더 유리한 면이 있는 건 인정한다. 근데 여자들은 남자였어도 마찬가지인 부분조차도 성별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는 거 같다. 남자들은 뭐가 잘 안 되면 '성별'을 떠올리지 않고 '내가 잘못인가?'를 먼저 떠올리는데 대다수의 여자는 '내가 여자라서 그런가?'를 먼저 떠올림. 약간 피해의식이 있어서 지가 잘 안되는 걸 전부 성차별로 돌림. 그래서 요즘 2030대 여자들이 성차별이 만연하다고 느끼는 거지. 사실은 2030 남자들도 ㅈ같은 세상인데. 저기 봐라. '코리안걸'이라고 지들이 그냥 한정 짓고 있잖아. 피해망상증임.
2022.05.14 04:31
ㅁ
남자가 잘해서라기보단 통계적 확률임여자들 일하는 마인드 책임감 같은게 탑재가 안된 경우가 너무 흔함 그래서 여자랑 일해봤거나 채용해본 사람은 비슷한 조건이면 남자를 채용할 확률이 높음그 변호사 여자 페미년도 할당제 주장하면서 자기사무실 직원은 전부 남자였음ㅋㅋㅋ
2022.05.14 06:31
1
내가 캐나다에서 일 시작할려고 일 알아볼때 같이 공대에 있던 백인 애가 자긴 자기 아빠 친구에서 일 할거니깐 레주메나 인터뷰 할 필요가 없다고 하더라. 사람사는 곳은 다 똑같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
2022.05.14 07:31
ㅇㅇ
레퍼럴 문화는 대규모 신입 채용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또 또라이 걸려내기 위해서라고 봐야하는데 너무 인맥 없으면 안되는 줄 아는것 같아. 파이낸스고 뭐고 작은 회사에서 시작해서 탑 회사로 천천히 올라가는 길이 늘 있음.
공채 문화가 한국만큼 발달한 나라도 없음대학 시험도 그나마 제일 객관적으로 선발하는 편이고서구권은 기부입학도 많고 주관적인 잣대로 등락이 갈리는 편이라 사실 부정이 더 심하다고 봐야지